본문 바로가기
Encyclopedia

북유럽 신화 - 펜리르 Fenrir

by Riddlee 2024. 7. 13.

펜리르 - 북유럽 신화 속 늑대

북유럽 신화에서 펜리르(Fenrir, Fenrisulfr 또는 Vanagandr )는 거대한 괴물 늑대입니다.

펜리르는 고대 전통 자료 중 13세기에 편찬된 시적인 에다(Eda)와 스노리 스털루손(Snorri Sturluson)이 13세기에 쓴 프로사이아 에다(Prosaic Edda)와 하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에 등장합니다.

북유럽 신화 - 펜리르

펜리르는 프로사이아 에다와 시에서는 늑대 스콜과 하티의 아버지입니다. 

그는 로키의 아들이며, 라그나뢰크에서 오딘을 죽이고 나중에 오딘의 아들 비다르에게 죽임을 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로사이언 에다에는 펜리르에 대한 추가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신들은 펜리르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그가 초래할 큰 불행을 언급한 예언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사슬에 묶기로 결정했고, 이로 인해 펜리르는 티르가 투옥되었을 때 그의 오른손을 물어뜯고 찢었습니다.

펜리르의 표현은 다른 물체에서 확인되었고, 학계의 이론들은 펜리르가 북유럽 신화의 다른 늑대들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펜리르는 많은 예술적 표현, 문학, 그리고 게임 등 미디어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펜리르의 속박

처음에 펜리르는 어린 짐승에 불과했지만, 먹고 자라면서 그를 통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아이시르는 그를 감시하기 위해 아스가르드에 두기로 결정했지만, 아무도 그를 돌볼 용기가 없었습니다.

그는 펜리르의 거대한 크기를 보고, 그를 묶기로 결심했습니다. 두 번이나 신들은 그를 가두려는 시도를 실패했습니다:

처음에는 일반 사슬로, 그리고 다음에는 펜리르가 착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쉽게 풀어준 훨씬 더 강력한 드로마 체인으로 말입니다.

그러자 신들은 난쟁이들에게 눈길을 돌렸는데, 난쟁이들은 고양이의 발자국, 여자의 수염, 물고기의 숨결, 산의 뿌리, 곰의 사인, 새의 침 등 여섯 가지 마법의 성분으로 만들어진 글레이프니르 사슬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사슬이 마법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펜리르에게 가져갔습니다.

아이시르인은 그에게 사슬을 끊지 못하면 그를 풀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의심스러운 펜리르는 다시 거절했지만, 신들 중 누군가가 그의 주둥이에 손을 얹는 것에 동의하면 믿음의 증거로 그것을 씌우기로 동의했습니다.

오직 오딘의 아들 티르만이 자진해서 늑대의 턱에 손을 넣었습니다. 그러자 펜리르는 자신이 묶여 있는 것을 허락했지만, 자신이 자유롭지 못한 것을 보고 입마개를 닫고 티르의 손을 물었습니다.

펜리르 어원

 

펜리르는 기독교 이전의 고대 노르드 전설에 나오는 늑대의 이름입니다. 펜리르는 속임수로 잘 알려진 로키 신의 아들이었습니다. 스칸디나비아 전설에 나오는 펜리르를 묶는 이야기에서 신들은 펜리르를 키웠지만 곧 그를 다스려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고대 노르드 신들은 펜리르를 묶기 위해 속임수를 썼지만, 그는 이 신들을 믿지 않을 만큼 똑똑했습니다.

"그러나 펜리르는 무서운 속도로 자랐고, 곧 신들은 그가 아스가르드에 머무는 것이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고 결정했습니다. 그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면 얼마나 많은 파괴를 일으킬지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신들은 그를 다양한 사슬로 묶으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들은 이 족쇄가 그의 힘을 시험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그들이 그에게 제시한 각각의 새로운 사슬로 그가 자유를 얻었을 때 박수를 치고 환호함으로써 그 늑대의 동의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문헌 속 펜리르


존 바우어의 "Tyr and Fenrir" (1911)

펜리르가 이 신들에게 진짜 위협이었습니까?
기독교 이전의 이 옛 세계 북유럽 전설들은 미지의 세계를 두려워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이 신들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펜리르를 지배하고 싶었습니다.

"신들이 펜리르에게 기묘하게 가볍고 유연한 글레이프니르를 선물했을 때, 펜리르는 속임수를 의심했고, 신들 중 한 명이 그의 턱에 선의의 서약으로 손을 대지 않는 한 그것과 묶이기를 거부했습니다. 이것이 손을 잃고 맹세를 어기는 것을 의미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신들 중 누구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용감한 티르는, 모든 생명의 이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늑대의 요구를 들어주었습니다. 그리고 확실히, 펜리르는 그가 글립니르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발을 동동 구르며 티르의 손을 삼켰습니다."

 


도로시 하디 (1909)의 "오딘과 펜리르"

신들은 펜리르의 선한 본성을 배신했습니다.
결국 늑대 펜리르의 운명은 땅을 모두 집어삼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미지의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늑대 펜리르를 지배하려는 신들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이 강의 불길한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펜리르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라그나로크에서 그는 자유를 얻어 아래턱을 땅에 대고 위턱을 하늘에 세운 채 세상을 뛰어다니며 자신의 길에 있는 모든 것을 집어삼켰습니다. [3] 그는 심지어 오딘 신을 죽이기 전에 오딘의 복수심을 품은 아들들 중 한 명에게 죽임을 당했습니다." 펜리르의 구속 출처

펜리르는 결국 자신이 속임수를 쓴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결국, 펜리르는 로키의 아들입니다. 로키는 다른 신들을 속이기 위해 행동하고 속임수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의 상징으로서의 펜리르

펜리르(Fenrir) 신화는 속임수로 관리할 수 없는 자연의 상징입니다.

북유럽 신화의 펜리르는 기독교 이전 시대에 노르웨이 사람들이 늑대를 신의 아들이라고 부름으로서 자연에 대한 존경심을 가졌음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북유럽 신화의 펜리르는 미지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을 반영하는 동시에 자연에서 늑대가 수행한 역할을 존중함을 나타냅니다.


원문출처 (1)

원문출처 (2)